설치 cd "matlabroot/extern/engines/python" python setup.py install *matlabroot를 모를경우 matlab을 실행하고 matlab terminal에서 "matlabroot" 명령을 실행한다. --- python code --- import matlab.engine # MATLAB engine API import eng = matlab.engine.start_matlab() # MATLAB engine 객체 생성 print(eng.isprime(13)) >> True print(eng.isprime(12)) >> False 그리고 위 코드를 실행하면 잘 되는걸 볼 수 있다! matlab script 파이썬에서 실행하기 해당 폴더에 넣고, 실행해주기만 하..
파일 위치: /etc/ssh/sshd_config Port 22 - ssh가 사용할 기본 포트 지정 Allowusers user1 root - 로그인 허락할 계정을 기록한다. - user1과 root 두 계정에게만 로그인 허용 Protocol 2 - openssh는 프로토콜 버전을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다. protocol 2로 설정에는서버는 버전 2로만 작동하기 때문에 ssh1을 사용해 접속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를 받아 들일 수 없다. - protocol 1로 설정해서 가동시킬 경우에는 버전 2를 사용하는 ssh2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들일 수 없다. 보안상 protocol 1 은 사용하지 않는다. ListenAddress 0.0.0.0 - sshd 데몬이 통신가능한 주소이다. 0.0.0...
이런 에러를 겪었는데, GROUP BY를 사용하는 경우, SELECT할 수 있는 컬럼은 GROUP BY에 나열된 컬럼과 SUM(), COUNT() 같은 집계 함수(Aggregation Function)으로 한정 한다고 한다....!!! (sql 표준 문법은 group by 사용시 select 의 칼럼중 집계함수에 쓰이는 것을 제외한 모든 칼럼을 기입해야 한다. 왜??) 해결 방법은, sql_mode 에서 ONLY_FULL_GROUP_BY 설정을 뺀다 SET SESSION sql_mode = 'NO_ENGINE_SUBSTITUTION,STRICT_TRANS_TABLES'; - 설정파일(my.cnf)에서 ONLY_FULL_GROUP_BY 를 찾아 삭제한다.
code-server를 통해서 서버에 웹브라우저 vscode를 통해서 접근하는데는 성공했지만, browser단에 설치한 jupyter extension이 무한로딩에 걸리는 버그가 있었는데 도저히 고칠 방법을 못찾아서(...) 로컬 웹으로 ipynb 파일을 수정하고, 서버에서 실행하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 code-server 터미널 jupyter-notebook --no-browser --ip="{inet_addr}" --port=8889 으로 실행해준다. 참고로 여기서 명령어를 입력할 때 실행중인 커널이 jupyter notebook에서 실행하는 커널이 된다. 따라서 코드를 실행하길 원하는 가상 환경이나 계정으로 미리 바꿔줘야 한다! * 공유기 사이트 8889번 포트 열어주기 그러고 나면, 원래 dd..
고급설정 > LAN 연결 설정 > 고정IP 1에 MAC주소랑 IP 넣어준다.
Theta inner join, Natural inner join, Left outer join, Left semi join, Anti join cartesian 곱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연산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1. Natural Join select name, course_id from student, takes where student.ID = takes.ID; 복잡한 이걸 한방에 쓸 수 있다. select name, course_id from student natural join takes 그리고 natural join을 outer join과 구별하기 위해서 'inner joi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Inner join에는 3가지 종류가 있다. Theta join EQUI joi..
우분투 기준 $ curl -s https://packagecloud.io/install/repositories/github/git-lfs/script.deb.sh | sudo bash $ sudo apt install git-lfs 레포 위치로 가서 $ git lfs install // 특정 파일을 LFS로 관리 $ git lfs track {파일명} $ git add .gitattributes 그러면 이렇게 된다. 참고로 깃헙 제한은 계정당 총 1GB인듯 하다 * 혹시 이미 큰 파일은 commit해서 push가 안되는 경우라면? 로컬에서 해당 파일을 삭제한다. 삭제한 결과를 커밋한다. git reset --soft HEAD~N 으로 N개의 커밋이 있다면 해당 커밋을 취소한다. git commit -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