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오랜만에 적는 블로그 포스팅이네요! CCNA 준비를 하면서 후기들을 많이 찾아봤었는데, 최근 후기가 없어서 제가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0. 누가 봐야할 시험인가 CCNA 같은 경우에는, '네트워크 엔지니어'라는 구체적인 직군을 희망하지 않으신다면 굳이 공부하시는걸 추천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학부 때 배웠던 컴퓨터 통신, 네트워크 응용 설계 과목에서 다루는 내용이 50%가량이고, 나머지는 Cisco 특화된 내용이거나 굉장히 세부적인 기술입니다. 덤프를 통해서 공부해야 하는 내용도 많습니다. 네트워크 장비를 만질 일이 없는 개발자와 같은 직군에서는 필요하지 않은 지식이 너무 많다고 느꼈습니다. 1. 시험 범위와 난이도 시험 범위는 cisco 홈페이지에 명시되어 있지만 꼭 덤프를 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저..
언젠가 써야지 써야지 했는데 4개월이 지난 지금에서야 쓰게 되네요... 이 글은 제가 중앙대 에브리타임에도 올렸던 글입니다. 블로그에 올리기 위해서 조금 각색했습니다 :D [미국 대학원 관련 정보] 0. 왜 대학원을 가는 선택을 하게 되었는가 - 인턴과 외주 경험 중 느낀 개발에 대한 회의: 개인적으로 개발자라는 직업에 딱 맞지 않다고 느낌. 나는 사람들이랑 좀 더 소통하는 직업이 갖고싶었음. - 한 수업에서 교수님이 “박사가 되어야 하는 이유” - 커리어적으로 안정적이다, 전문 지식을 성장 시킬 수 있다 등 장점을 말해주셨는데 그때부터 진지하게 생각했습니다. -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게 너무 멋있어 보였다. - 3학년 여름 방학부터 유학 준비를 시작했는데 너무 늦게 시작해서 모든 과정이 촉박..
ctrl+A 줄 처음으로 이동 ctrl+E 줄 끝으로 이동
지프의 법칙에 따르면 어떠한 자연어 말뭉치 표현에 나타나는 단어들을 그 사용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였을 때, 모든 단어의 사용 빈도는 해당 단어의 순위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는 두 번째 단어보다 빈도가 약 두 배 높으며, 세 번째 단어보다는 빈도가 세 배 높다. 예를 들어, 브라운 대학교 현대 미국 영어 표준 말뭉치의 경우,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는 영어 정관사 “the”이며 전체 문서에서 7%의 빈도(약 백만 개 남짓의 전체 사용 단어 중 69,971회)를 차지한다. 두 번째로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는 “of”로 약 3.5% 남짓(36,411회)한 빈도를 차지하며, 세 번째로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는 “and”(28,852회)로, 지프의 법칙에 정확히 들어 맞는다...